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출/TEST 어법 (1) 사관학교 2009 외국어영역 어법 기출 문제 - 1
    어법 2013. 7. 20. 20:3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문제 출처 : 사관학교 기출, 해설 정리 : 고동완(수업 받은 내용 정리)]
    문제 :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 An abstract is a brief,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contents of an article. Most journals require an abstract. (A)[well-preparing/well-prepared] abstract can be the most important paragraph in an article. Most people will have their first contact with an article by seeing just the abstract, usually on a computer screen with several other abstracts, (B)[when/how] they are doing a literature search through an electronic abstract-retrieval system. Readers frequently decide on the basis of the abstract (C)[what/whether] to read the entire article. The abstract needs to be dense with information but also readable, well-organized, and brief.
    [2009 사관학교 기출]

    2. Between 4 and 5 percent of the present population of Britain are either immigrants or the descendants of immigrants from former British colonial territories in the Caribbean or in South Asia. The movement of people from these parts of the world to Britain in any large numbers (A)[is/are] a recent phenomenon, dating from the 1950s. Even on the dubious assumption (B)[that/which] people from so wide a range of different countries and different backgrounds should be treated as a single group, this is still a relatively small minority by comparison with, for example, (C)[those/these] in France or the United States. Nevertheless, since the 1950s people from the Caribbean or South Asia settled in Britain have been regarded as a problem. [2009 사관학교 기출]

    * 해설
    1번의 A 번은 조심해야 할게 있다. 뒤에 abstract 를 형용사로 추상적인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 abstract 은 명사로 '요약' 이란 뜻을 갖고 있으므로 abstract를 수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잘 준비하는 요약이 아닌, 잘 준비된 요약이므로 well-prepared 가 와야 한다.
    B 번은 when과 how가 왔을 때는 보통 문맥상으로 답을 결정한다. 문맥 상 ~때가 와야하므로 시간 접속사 when 와야한다.
    C 번은 뒤에 목적어 the entire aritcle 이 있으므로 목적어를 포함한 what 이 올 수가 없다. 또 문맥 상 ~할지 말아야 할지 이므로 whether 가 와야한다. * 어휘 : retrive 회수하다, dense 조밀한

    2번의 A번은 전형적인 수 일치 문제다. of 부터 mumbers 까지는 수식어구들이다. 주어는 the movement 이므로 단수인 is가 와야한다.
    B번은 that/which 가 오면 먼저 문장의 구조부터 판단한다. 뒤이어서 오는 문장이 완전하면 that, 불완전하면 which가 온다. 그런데 뒷문장을 보면 people ~ backgrounds 까지 주어고 should be treated 가 수동태로 표현되었다. 수동태는 목적어가 필요 없으므로 뒷 문장이 완전하다. 따라서 that 이 와야한다.
    * ~N + that/which 뒷 문장 구조로 판단.
    C번은 후치 수식 대명사를 묻고 있다. 뒤에 in France or the United states 을 수식하는 those 가 와야한다. 단수면 that, 복수면 those가 온다. * 어휘 : dubious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