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틀리기 쉬운 영문법, 어법 (2) - 시제 2
    어법 2013. 7. 6. 21:1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저번에 올렸던 시제파트와 마찬가지로 공부하다가 틀렸거나 헷갈렸던 문장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블로그를 통해 해설과 같이 올린다. 아래 문장에서 완벽하게, 틀리는 것 없이 오류를 잡아냈다면 영문법에 있어서 꽤 내공이 있다고 봐도 된다.

    1. 틀린 부분을 바르게 고치세요
    In most parts of the world, rabbits have been valud for their meat and pelts. (모의 기출)

    2. 밑줄친 부분 중 맞는 것을 고르세요.
    Tim Berners-Lee is not extrmely rich of famous like Bill Gates. He could be/have been, but he didn't want to be. (쎄듀 파워업 어법어휘 모의고사 발췌)

    3. 틀린 부분을 바르게 고치세요.
    Our early ancestors may have used the fingers of their hands or cut notches like /// on tree branches to indicate how many apples they had picked that day. But they must soon realize that no tree branch could be long enough to count a very a large number of apples. (모의 기출)

    4~5. 밑줄 친 부분이 틀린지 밝히세요.
    4.
    "This bill is important because it will protect children's health." Arkansas, California, and Louisiana have passed similar laws. (271번, 파워업 모의고사에서 지문 발췌)

    5.
    Four years later, the landowner said that he had killed about 20,000 of them for their meat and pelts. (모의 기출)

    * 해설
    1번 답 : have long valued → have long been valud

    사실 이건 시제 문제라기보다는 수동태 문제에 가까운데, 어쨌든 문장을 보면 rabbit 이 평가된 것이므로 수동형 have long been 이 와야한다. 여기서 왜 have p.p 가 왔냐면, 문장을 해석해보면 알겠지만 과거부터 지금까지 쭈욱 이어져온것이므로 have p.p를 쓴 것이다. 이점 유념해야 한다.
    * have p.p 와 be p.p 의 결합 = have been p.p 임을 잊지 말자.

    2번 답 have been
    조동사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다면 어려운 문제일수도 있었다.
    * 조동사 + be → 현재 사실 추측 or 미래 사실 추측 (즉 원형 동사가 왔을 때)
    * 조동사 + have been → 과거 사실 추측

    이란 개념이 중요하다. 문장에서 보면, he didn't 가 뒤 이어 나오는데, 즉 과거 사실에 대한 추측이므로 have been 이 적절하다.

    3번 답 must soon realize → must have soon realized
     must + 동사는 시제가 현재있을 때 쓰는 것이다. 그러나 문장을 보면 시제가 현재가 아니다. 따라서 과거에 했음이 틀림 없다 must have p.p 가 와야한다.

    4번 답 틀린 부분 없음.
    과거에서 지금까지 법을 통과시켰으므로 현재완료 시제가 오는 것이 좋다.

    5번 답 틀린 부분 없음.
    대 과거 had p.p 적절하다. 문장에서 보면 알겠지만 말한 시점보다 이전의 시점이 that 이하의 내용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