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균관대 2003 수시 2차 심층면접고사 영어 기출 문제독해 2013. 7. 6. 21:22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Transhumanism” is a blanket term given to the school of thought that refuses to accept traditional human limitations such as death, disease and other biological frailties. And “transhumans” are defined as a new species that the human might eventually become, a new kind of being transcending human limits in all forms.
The so-called “transhumanists”, a group of radical thinkers who have emerged in the last decade, are typically interested in a variety of futurist topics, including space migration, lifespan expending, perpetual increase of knowledge and mind uploading. They seek to achieve these goals through reason, science and technology. Mostly atheists/agnostics, they are also extremely interested in more immediate subjects such as bio- and nano-technology, “cybor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s and neurology.
“Transhumanists” deplore the standard paradigms that attempt to render our world more comfortable at the sake of human fulfillment. Life needn't be an exclusively biological phenomenon. That is, “transhumanism” is the idea that new technologies are likely to change the world so much in the next century or two that our descendants will in many ways no longer be “human”.
frailties: 결함, 한계
space migration: 우주(로의) 이주
mind uploading: (컴퓨터 상으로의) 정신의 전이 (인간의 두뇌 기능을 복제하도록 고안된 컴퓨터로 인간의 의식을 전송시키는 일. 주로 인간의 육체적,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고자하는 의도를 지님) neurology: 신경학<문제>
1) 인간과 “transhuman”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러한 “transhuman”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무엇인가.
2) “Transhumanism”이 다가오는 이 시대에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
“Transhumanism” is a blanket term given to the school of thought / that refuses to accept / traditional human limitations such as death, disease and other biological frailties. // And “transhumans” are defined as a new species / that the human might eventually become, / a new kind of being transcending human limits in all forms. /
(해석) Transhumanism 는 생각의 연구소에 주어진 전반적인 용어이다 / 수락하는 걸 거절하는 / 전통적으로 인간의 한계인 죽음, 질병, 다른 생물학적 결함 같은 / 그리고 transhumans 는 새로운 종으로서 정의된다 / 인간은 결국 될지도 모른다고 / 새로운 종류의 모든 형태에서의 인간의 한계를 초우러하게 되는
* limitation 국한, 제한The so-called “transhumanists”, a group of radical thinkers / who have emerged in the last decade, // are typically interested in a variety of futurist topics, including space migration, lifespan expending, perpetual increase of knowledge and mind uploading. // They seek to achieve these goals through reason, science and technology. // Mostly atheists/agnostics, they are also extremely interested / in more immediate subjects such as bio- and nano-technology, “cybor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s and neurology.
소위 transhumanists 는 근본적 사상가의 그룹이다 / 지난 십여년 동안 참여한 / 전형적으로 관심 있는 / 우주의 이주, 수명의 연장, 지식의 영원한 증가, 그리고 'mind uploading' 을 포함한 다양한 미래 주제에 대해서, // 그들은 과학과 기술의 이유를 통한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 추구한다. 대개 무신론자 그들 또한 대단히 관심을 둔다 / 바이오 그리고 나노 기술, cyborging 그리고 인공적 지능, 컴퓨터, 신경학 같은 당면한 주제에 대하여
* atheists 무신론자“Transhumanists” deplore / the standard paradigms / that attempt to render our world more comfortable at the sake of human fulfillment. // Life needn't be an exclusively biological phenomenon. That is, “transhumanism” is the idea / that new technologies are likely to change the world / so much in the next century or two / that our descendants will / in many ways no longer be “human”.
Transhumanists 는 한탄한다 / 전형적 예의 기준을 / 인간이 성취하기 위한, 더 편안한 우리의 세계를 만들려는 시도를 // 삶은 독점적 생물학적 현상이 필요치 않다. 즉 transhumanism 은 생각이다 / 새로운 기술이 세상을 더 쉽게 바꿀 수 있는 / 다음 100년, 200년간 만큼의, 또는 / 우리의 후손들이 할 것이라는 / 많은 방법 속에서 더 이상 인간이 되지 않으려고 하는'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난도 구문 문장 분석 (35~42) Introspective reflections ~ It derives from the prevalent (0) 2013.12.15 실전 영어 독해에 걸림돌이 되는 구문 (13) 암기해야만 올바른 독해가 가능한 표현 정리 (What if 등) (0) 2013.07.06 실전 영어 독해에 걸림돌이 되는 구문 (14) 전치사 by의 의한 다양한 해석 (0) 2013.07.06 실전 영어 독해에 걸림돌이 되는 구문 (15) for, of 의미상의 주어와 To 부정사가 문두에 나올때의 처리법 (0) 2013.07.06 가장 기초적인 영어 리딩 연습 (1) (0) 2013.07.06